책소개
마르티니 추기경과 함께하는 영신수련 피정
요한복음서에 나오는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을 묵상하는 시간!
공관복음서와 구별되는 독특한 문체와 내용을 보이는 요한복음서. 예수님의 신성과 사랑에 대해 그토록 풍부한 내용이 담긴 이 복음서에서, 마르티니 추기경은 특히 18-21장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바로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부활을 다루는 이 부분을, 영신수련 피정하듯이 읽고 묵상할 수 있는 책, 《빛과 어둠》입니다.
마르티니 추기경은 먼저, 예수님의 수난과 부활에 대한 본문을 독자와 함께 읽어나갑니다. 그런 가운데, 긍정적 인물들(예수님이 사랑하신 제자, 베드로, 열한 제자, 마리아 막달레나)과 부정적 인물들(대사제들, 빌라도, 유다와 군인들)을 중심으로 본문을 살펴봅니다. 베드로나 마리아 막달레나 같은 ‘긍정적’ 모습이든, 빌라도나 대사제 등의 ‘부정적’ 모습이든 간에, 독자들은 ‘주님의 수난과 부활을 마주하는 여러 모습’에 자신을 비추어보면서 예수님과 더 깊이, 솔직하게 만날 수 있습니다.
베드로를 예로 들자면, 그는 긍정과 부정을 오가는 인물입니다. 예수님을 위해 목숨까지 내놓겠다고 했지만, 살기 위해 예수님을 세 번 부인합니다. 그런 뒤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묻습니다.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 세 번의 질문, 세 번의 대답, 세 번의 파견. 이는 베드로의 세 번의 부인을 만회하는 가치를 지닌 예수님의 용서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다음과 같이 생각해보고 묵상할 수 있습니다. ‘내가 베드로였다면 목숨을 잃을 상황에서 예수님의 제자라고 말할 수 있었을까?’,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나고, 사랑한다고 대답하는 베드로는 어떤 심정이었을까?’ 여러 인물을 통해 이렇게 성찰해봄으로써, 결국 예수님 사랑의 ‘과도함’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양들을 위하여 자기 목숨을 내놓으신, 십자가에 못 박힌 종의 모습을 취하신, 그리고 당신 자신을 우리에게 양식과 음료로 주시는, ‘하느님께서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내주신 외아들’ 예수님의 과도한 사랑과 만나는 것입니다.
영신수련 피정이라는 방식의 독서(lectio)와 묵상(meditatio)이 처음에는 독자들에게 낯설고 힘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차근차근, 때로는 반복해서 읽으며 따라가다 보면 요한 18-21장에 나타난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부활의 신비에 깊이 빠져들게 됩니다. 또 그 신비에 대한 묵상을 바탕으로, 실제로 어떻게 기도할 것인지도 배우게 될 것입니다.
세상의 빛과 어둠 속에서 분투하는 신자들에게 참된 빛과 어둠을 증언하는 이 책에서, 마르티니 추기경은 이렇게 고백합니다.
“삶의 고통과 시련이야말로 당신의 삶과 죽음과 부활로써 우리에게 아버지의 모상임을 드러내신 예수님의 고통과 시련에 우리를 일치시켜 줄 것입니다.”
책 속에서
영신수련은 무엇보다도 성령께서 하시는 일입니다. 단순히 이 사실을 긍정하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됩니다. 철저한 확신이 필요합니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 곧 모든 이를 인도하시는 분이 성령이라는 사실을, 먼저 저 자신이 그리고 여러분이 확신해야 합니다. 11쪽
침묵과 더불어, 차분하고 평온한 마음으로 기도해야 합니다. 피정을 시작할 때는 보통 조금 피곤하고 긴장되어 있으며, 다소 흥분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휴식과 침묵의 시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고요한 분위기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1년 중에 우리가 고요한 분위기에서 기도를 바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마치 해야 할 어떤 일을 하듯이 기도를 합니다. 기도는 그렇게 해서는 안 됩니다. 기도는 무엇보다도 하느님 앞에서 침묵 중에 머무는 것입니다. 기도는 결코 노력해서 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기도는 오히려 하느님 아버지를 흠숭하며 성부께 모든 것을 맡겨드리는 순간입니다. 14쪽
우리 삶의 기초이고 뿌리가 되는 본질적 진리는 우리가 예수님 안에서 하느님의 사랑을 받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우리는 추호도 의심 없이 항상 이 사실에서 출발해야 하며 출발점인 이 사실로 항상 되돌아가야 합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위하여 할 수 있는 것은, 우리의 공적이 있기 이전에, 우리의 행위가 있기 이전에, 예수님의 사랑에 대한 우리의 응답이 있기 이전에, 예수님은 우리를 선택하셨고 사랑하셨다는 사실을 단순히 알고 인정하는 것뿐입니다. 74쪽
베드로가 자신의 목숨까지 내놓겠다고 선언할 때에 그는 매우 진실하였습니다. 우리도 똑같이 진실합니다. 우리도 비슷한 선언을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자주 우리의 약함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진실하기는 하지만, 오만하며 참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만약 우리가 그런 사람이라면, 우리의 약함을 고백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베드로를 진실함에서 진리로 나아가게 합니다. 89쪽
베드로가 세 번 부인하였던 것처럼, 질문도 세 번 받습니다. 그 질문들은 세 번의 부인을 만회하는 가치를 지닙니다. 스승은 아주 섬세한 방식으로 당신이 알고 용서하신다는 것을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십니다. 우리는 종종 일어난 사건의 진실을 완강하게 고집할 때만 평정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정반대 방향으로 생각을 바꿈으로써 사실들을 바로잡아 논란을 끝낼 수 있는 암묵적 방식도 있습니다. 103-104쪽
특히 ‘일상의 십자가’라고 여기도록 배운 모든 사소한 사건들, 우리를 분노하게 하는 모든 것과 갑작스러운 사고들과 우리를 방해하는 듯 보이는 사건들이 바로 ‘감퇴의 수동성’이라는 것을 기억합시다. 사실 그것들은 하느님께서 우리를 담금질하고 정화하며, 우리의 마음을 비우고 당신과의 만남을 준비시키며, 우리 안에 부활의 힘이 들어오게 하는 도구입니다. 179-180쪽
예수님의 삶 전체가 과도함이며 의미를 가집니다. 우리를 위하여 당신 아드님을 내어주신 아버지의 과도한 사랑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내주셨다”(3,16). 그러므로 과도함은 예수님 삶의 규범이자 열쇠이고, 처음부터 전체성, 무상의 헌신을 특징으로 하며, 아무 공적이 없는 사람뿐 아니라, 당신을 배반한 사람을 위해서도 조건 없이 헌신하는 것입니다. 246쪽
들어가며 _8
머리말 8
들어가며 10
수련의 행위자•11
피정 제목•18
1. 주체이며 인격체이신 예수님 25
예수님의 인식과 예지•26
생명을 충만히 받아들이다•35
2. 체포: 정원에서 주체이며 인격체로 나서시는 예수님 45
장소•47
적대자•50
나다•53
아버지께 맡기며•58
성찰하고 관상하기 위하여•61
3. 예수님이 사랑하신 제자 65
매우 풍부하고 불가사의한 모습•68
사랑하도록 내버려 두다•74
예수님과의 깊은 우정•79
4. 성숙을 향한 베드로의 여정 87
예수님의 수난 앞에 선 베드로•88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95
우리 그리고 베드로•106
5. 종교 재판 111
과도함의 신비•111
이야기•116
소속과 종교 전통을 넘어서•121
6. 대사제들의 시기와 야망과 헛됨 127
마음의 자유에 도달하기 위하여•128
예수님의 수난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강력한 감정•133
기도하면서•147
7. 예수님의 굴욕과 영광에서 빌라도의 역할 151
재판의 전개•154
완전한 인간이며 참임금으로서 굴욕을 받은 예수님•162
실천적 결과•173
8. 유다와 군인들 181
십자가에 못 박히시다•182
유다: 낙담한 이상주의자•186
군인들: 오만과 초기의 믿음•194
9. 십자가와 부활 203
바로 그날 저녁•204
평화가 너희와 함께!•213
10. 마리아 막달레나의 추구 218
부활의 신비•219
인물•224
부활하신 분과 만남•230
11. 구원하는 과도함 239
과도한 악과 선•240
예수님의 과도함과 제자의 과도함•244
태워버리는 불과 화상을 입히는 불•250
삼위일체적 삶•253
기도•258
지은이: 카를로 마리아 마르티니 (Carlo Maria Martini)
1927년 이탈리아의 토리노에서 태어나 1944년 예수회에 입회, 1952년 사제품을 받고 교황청립 성서대학의 교수, 학장, 그레고리오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밀라노 대교구장으로 봉사한 뒤(1980-2002, 1983년에 추기경으로 서임) 은퇴하고 예루살렘에 머물다가 2012년 선종하였다. 깊은 묵상에서 우러나온 지혜로운 글과 말로 시대를 밝히며 교회와 신자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많은 강론집과 묵상서를 펴냈으며, 세계 각국 언어로 널리 퍼졌다.
옮긴이: 박요한 영식
서울대교구 사제로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수학하였다(성서학 박사 S.S.D). 가톨릭대학교 교수, 총장, 우르바노대학교 초빙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교황청 성서위원회 위원이며, 반포4동 성당 주임신부로 재임 중이다. 《성서와함께 총서: 탈출기1, 2》 등의 저서와 《구약성서 입문》등의 역서를 펴냈다.
요즘 렉시오디비나모임에 참가하면서 성경의 말씀을 경청하며 나누고 기도하고 침묵 중에 깨달음을 얻으며 나눔 속에서 힘을 얻게 되었다.그런데 ‘빛과 어둠’이라는 영신수련에 관한 책을 보면서 성경말씀과 내 자신과의 또 다른 깊은 고찰을 하게 되었다. 책을 읽으며 체면에 빠진 것처럼 나도 모르는 묵상에 빠지게 되었다. 작가가 말하듯이 빛과 어둠을 독서하면서 자연스럽게 관상하고, 묵상에 빠지게 되었다.
이 책에서 말하는 각 주간마다의 영신수련은 내게 있어서 예수님의 생애를 묵상하고 관상하는 데 전념하게 하고 실천적 과제를 던져줌으로써 신앙인의 삶의 자세를 다시한번 자숙시키는 힘을 주었다.
책을 읽으며 나는 자연스럽게 요한복음이 말해주는 주님의 현장을 좀 더 탐구하고 싶어서 요한복음에 나오는 인물에 관한 책, ‘너는 이것을 믿느냐’도 다시한번 읽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빛과 어둠’에서 작가가 제시하기 전까지 주님의 수난이야기를 읽을 때면 인간에게 수난을 당하시는 주님이라고만 생각했지 주님께서 주체성을 가지시고 수난을 당당히 받으신다고는 생각해보지 못했다. 주님께서는 언제나 당당하시고 행위의 주체이시며 일어나는 사건들을 통제하고 계셨다니 나의 슬픔은 찬미의 기쁨으로 바뀌게 되었다. 또, 요한복음을 읽으며 특별한 사랑을 받는 제자에 대해서도 다시한번 깊이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 빛은 어둠은 둘이면서 하나일 수밖에 없음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
요한복음서와 영신수련이라는 말에 처음에는 어렵지 않을까 걱정했습니다.
그런데 찬찬히 읽어보니 시도해보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혼자 조용히 주님의 사랑을 묵상해 볼 수 있었어요~^^
혼자서도 책을 보며 영신수련 피정을 할 수 있는 책이네요~
이 책은 오래 곁에 두고, 묵상하고 싶어요~
제 삶도 늘 빛과 어둠 속을 왔다 갔다 합니다.
이 책을 통해 제 고통의 의미를 알게되었어요.
저자는 말합니다. “삶의 고통과 시련이야말로 당신의 삶과 죽음과 부활로써
우리에게 아버지의 모상임을 드러내신
예수님의 고통과 시련에 우리를 일치시켜 줄 것입니다.”
배송 방법
택배
배송 지역
전국지역
배송 비용
조건부 무료 :
주문금액 30,000원 미만일 때 배송비 2,900원을 추가합니다.
배송 기간
2일~7일
배송 안내
- 택배출고 마감시간 :
오후 2시 이전 주문결제/입금확인 건에 한하여 당일 출고분 마감
- 성서와함께 제품 :
오후 2시까지 결제/입금확인 건에 한하여 당일 출고
- 가톨릭출판사/분도출판사/성바오로딸/성바오로/생활성서 제품 :
당일 혹은 2~3일 출고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및 기타 도서 :
성경 및 기도서 당일 출고 가능(그 외의 항목은 3~5일 소요)
제주 및 도서 지역은 기본 택배요금 이외에 별도로 항공료 3,000원 추가
성서와함께는 대한통운(www.doortodoor.co.kr) 택배 발송(배송기간 1박 2일 정도 소요)
교환/반품 안내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상품을 받으신 날로부터 7일 이내
받으신 상품이 주문 상품과 다를 경우에는 공급받은 날로부터 2주 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고객님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및 포장 등이 훼손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