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도입부 : 근대의 시작
근대의 시기 구분과 특징
1. 근대신학의 시기 구분
2. 근대신학의 특징들
제1부 인문주의 시대 : 15세기 신학
제1장 인문주의와 신학
1. 역사적, 문화적 맥락
2. ‘인문주의’와 ‘르네상스’ 개념
3. 인문주의에 대한 해석들
4. 인문주의의 특징들
5. 인문주의 신학
제2장 플라톤적 노선의 신학자들 : 쿠사누스, 피치노, 피코 델라 미란돌라
1. 니콜라우스 쿠사누스
1) 생애
2) 작품들
3) 쿠사누스의 플라톤 사상
4) 인식론 : 대립의 일치 원리
5) 삼위일체의 신비
6) 그리스도의 신비
7) 교회론
8) 창조론
9) 쿠사누스 사상의 명암
2. 마르실리오 피치노
1) 생애와 작품들
2) 피치노의 종교적-신학적 계획
3) 피치노의 플라톤 사상
4) 피치노의 그리스도교
5) 인간의 품위와 영혼의 불멸성
6) 피치노가 후대에 미친 영향
3. 피코 델라 미란돌라
1) 생애와 작품들
2) 피코의 문화적, 신학적 계획
3) 인간의 그리스도적 품위
4. 바실리오 베사리온
추천 도서
제3장 15세기의 신학 학파들과 주요 대변자들
1. 오캄 학파 : 가브리엘 비엘
1) 베셀의 요한
2) 고흐의 요한 푸퍼
2. 토마스 학파
3. 성 토마스 사상의 전파자들
1) 비첸테 페레르
2) 후안 데 토르케마다
3) 안토니노 다 피렌체 피에로치
4) 카르투시오 수사 디오니시우스
4. 성 토마스 작품들의 주석가들
1) 카예타누스
2) 프란치스코 실베스트리
3) 피에트로 디 베르가모
4) 피에르 크로커트
5. 스코투스 학파
1) 프란치스코 델라 로베레
2) 안토니오 트롬베타
6. 알베르투스 마뉴스 학파
7. 아우구스티누스의 부흥
추천 도서
제4장 인문주의 신학의 마지막 대변자들 : 에라스무스, 토마스 모어
1. 존 콜렛
2.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1) 생애와 작품들
2) 그리스도교 철학
3) 성경신학
4) 에라스무스의 모습에 대한 해석들
3. 토마스 모어
추천 도서
제5장 근대 신심과 신학
1. 근대 신심의 시조인 게르트 그로테
1) 세속적 특징
2) 그리스도 중심적 영성
3) 내면주의와 개인주의
2. 근대 신심의 표현인 준주성범
3. 근대 신심과 인문주의
4. 근대 신심과 신학
추천 도서
제2부 종교개혁과 반동 종교개혁 시대 : 16세기 신학
제1장 종교개혁의 여명에 선 교회와 신학
1. 역사적 맥락
2. 종교개혁의 원인들
3. 루터 이전의 독일의 정치적-종교적 상황들
4. 종교개혁과 반동 종교개혁이 지속된 기간
추천 도서
제2장 마르틴 루터
1. 생애
2. 작품들
3. 신학의 개혁
4. 오직 성경과 믿음만으로
1) 오직 성경만으로
2) 오직 믿음만으로
3) 로마서 주해와 갈라디아서 주해의 의화 교리
⑴ 로마서 주해
⑵ 갈라디아서 주해
5. 신학적 인간학
1) 원죄
2) 노예인 자유의지
3) 이중 예정
6. 그리스도론
7. 교회론
8. 2개의 왕국
9. 결론 : 역사 기술에 나타난 루터의 모습
추천 도서
제3장 그 밖의 종교개혁자들 : 멜란히톤, 뮌처, 츠빙글리, 칼뱅
1. 멜란히톤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3) 중요성과 영향
2. 츠빙글리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3. 토마스 뮌처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3) 신앙과 성령
4) 신앙과 정치
5) 평가
4. 장 칼뱅
1) 생애와 작품들
2) 하느님에 대한 인식
3) 삼위일체의 신비
4) 그리스도론
5) 의화와 예정
6) 교회와 성사들
추천 도서
제4장 종교개혁자들에 대한 가톨릭의 대응
1. 신학자들의 응답
1) 독일 가톨릭 신학자들의 논쟁
⑴ 요한네스 에크
⑵ 요한네스 코클레우스
⑶ 요한네스 파브리
⑷ 토마스 무르너
⑸ 게오르크 비첼
2) 이탈리아 신학자들의 논쟁들
⑴ 카예타누스
⑵ 실베스트로 프리에리아스
⑶ 가스파레 콘타리니
⑷ 지롤라모 세리판도
3) 그 밖에 다른 신학자들의 논쟁
⑴ 장 드리도
⑵ 존 피셔
4) 결론
2. 교도권의 응답 : 트리엔트 공의회
1) 공의회의 단계들
2) 공의회에서 다루어진 주제들
⑴ 성경과 전승
⑵ 초본성적 인간학
⑶ 성사들
⑷ 교회
3) 트리엔트 공의회의 중요성 : 교회와 신학
추천 도서
제5장 트리엔트 시대의 가톨릭 신학 : 스콜라 신학의 쇄신
1. 신학적 부흥의 중심지들 : 살라망카와 로마
2. 토미즘의 승리
3. 트리엔트 신학의 주요 특징들
4. 긍정신학과 영성신학의 발전
추천 도서
제6장 살라망카 학파 : 빅토리아, 카노, 데 소토, 데 산 토마스
1. 살라망카 대학의 기원과 중요성
2. 프란치스코 데 빅토리아 : 살라망카 학파의 창시자
1) 생애
2) 작품들
3) 교회와 교황의 권력
4) 국가와 시민 권력의 기원과 본성
5) 국제적 권리와 원주민들의 권리
3. 도밍고 데 소토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4. 멜키오르 카노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 신학 논증의 원천
5. 후안 데 산 토마스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추천 도서
제7장 예수회원들의 신학 : 수아레스, 벨라르미노, 카니시우스
1. 바로크적 스콜라 신학
2. 바로크적 신스콜라 신학의 아버지 : 프란치스코 수아레스
1) 생애
2) 작품들
3) 형이상학적 사상
4) 법철학
5) 교의신학
⑴ 삼위일체의 신비
⑵ 그리스도론
⑶ 초본성적 인간학
⑷ 교회론과 성사론
6) 실천신학
7) 수아레스의 영향 : 수아레스주의
8) 결론적 평가
3.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1) 생애
2) 작품들과 사상
3) 교의신학
⑴ 성경과 전승
⑵ 교회와 교황
⑶ 은총과 신적 경쟁
4) 영성신학과 교리
⑴ 영성신학
⑵ 교리
5) 결론
4. 페트루스 카니시우스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3) 결론
추천 도서
제8장 은총신학 : 바이우스, 바녜스, 몰리나
1. 미셸 바이우스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⑴ 원래 의로움 안에서 인류의 상태
⑵ 죄의 상태에 처한 인류의 상황
⑶ 구원과 의화의 상태
⑷ 자유의지의 문제
3) 평가
2. 도밍고 바녜스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3. 루이스 데 몰리나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4. 은총논쟁에 대한 교황청의 개입
추천 도서
제9장 스페인의 신비신학
1. 스페인 신비신학의 중요성
2. 스페인 신비신학의 특징들
3. 스페인 신비신학의 초기 스승들
1) 후안 데 아빌라
2) 루이스 데 그라나다
3) 페트루스 데 알칸타라
4. 이냐시오 데 로욜라
1) 생애
2) 작품들과 사상
5. 예수의 데레사
1) 생애
2) 작품들
3) 사상
6. 십자가의 요한
1) 생애
2) 작품들
3) 사상
7. 스페인 신비신학의 마지막 대변자들
1) 알론소 데 오로스코
2) 루이스 데 레온
3) 후안 데 로스 앙헬레스
8. 결론
추천 도서
제10장 프랑스 영성
1. 기원, 중요성 그리고 특징들
2. 프랑수아 드 살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⑴ 사랑의 힘과 아름다움
⑵ 사랑의 숨은 위험들
⑶ 참된 사랑의 학교인 갈바리아
3. 피에르 드 베륄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3) 베륄 학파
⑴ 샤를 드 콩드랑
⑵ 장 자크 올리에
추천 도서
제11장 복음 세계의 스콜라 신학과 신비신학 : 바로크 시대
1. 개신교 스콜라 신학 또는 정통신학
1) 기원과 주요 특징들
2) 정통신학의 중심인물들
⑴ 요한네스 게라르트
⑵ 요한네스 크벤슈테트
2. 개신교 신비주의
1) 발렌틴 바이겔
2) 야콥 뵈메
추천 도서
제12장 선교신학의 탄생 : 16-17세기
1. 선교신학 : 아메리카
1)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⑴ 생애와 작품
⑵ 선교 사상
2) 호세 데 아코스타
3) 안토니오 비에이라
2. 선교신학 : 아시아
1) 알렉산더 발리냐노
2) 마테오 리치
3) 로베르토 데 노빌리
3. 결론
추천 도서
제3부 합리주의와 세속화 시대
제1장 신학의 고립과 위기
1. 역사적, 정치적, 종교적, 문화적 환경
2. 근대성
3. 신학의 위기
4. 연구의 중심지들 : 대학, 아카데미, 신학교
5. 신학적 암흑기의 신학자들과 운동들
제2장 얀세니우스와 얀세니우스주의
1. 얀세니우스의 생애와 작품들
2. 이성과 신학의 관계
3. 은총의 필요성
4. 아우구스티누스에 대한 단죄
5. 끊이지 않는 얀세니우스주의 논쟁
6. 얀세니우스주의의 근거들
7. 얀세니우스의 벗이자 조언자인 생시랑
8. 참고 문헌
제3장 위대한 호교론자들 : 파스칼과 말브랑슈
1. 블레즈 파스칼
1) 생애와 작품들
2) 파스칼적 호교론
3) 인간 수수께끼의 현상학
4) 인간 수수께끼 철학적, 종교적 해결
5) 인간 수수께끼 그리스도교적 해결
6) 마음의 회심과 십자가의 광기
2. 니콜라 말브랑슈
1) 생애와 작품들
2) 호교론
3) 철학적 아우구스티누스주의
4) 신학 사상
5) 신앙과 이성, 철학과 종교 간의 관계들
추천 도서
제4장 정적주의
1. 미겔 데 몰리노스
2. 마담 귀용
3. 프랑수아 드 페넬롱
4. 자크 베니뉴 보쉬에
1) 생애와 작품들
2) 사상
⑴ 강론
⑵ 역사신학
⑶ 정치신학
⑷ 에큐메니즘
추천 도서
제5장 제3기 스콜라 신학의 사색신학과 역사신학
1. 사색신학
1) 샤를-르네 빌뤼아르
2) 지아친토-시지스모도 제르디
3) 피에트로 마리아 가치나가
2. 역사신학
1) 드니 프토
2) 루이 토마생
추천 도서
제6장 윤리신학의 발전 : 알폰소 데 리구오리
1. 리구오리 이전의 윤리신학
1) 교의신학과 윤리신학의 분리
2) 요한 아초르의 윤리 지침서
3) 결의론과 개인주의
4) 양심, 자유 그리고 윤리적 결단
5) 주요 경향들
2. 알폰소 데 리구오리
1) 생애
2) 작품
3) 방법
4) 개연적 체계
5) 윤리신학사에서의 리구오리의 역할
3. 신학자, 교황 베네딕도 14세
1) 생애
2) 첫 회칙
3) 종교적, 교의적 활동
추천 도서
제7장 개신교 신학의 경건주의와 계몽주의
1. 경건주의
1) 요한네스 아른트
2) 필립 스페너
3) 아우구스트 프랑케
4) 니콜라우스 친첸도르프
5) 엠마누엘 스베덴보리
6) 경건주의에 대한 평가
2. 신학적 계몽주의
1) 계몽주의란 무엇인가
2) 계몽주의의 기원들
3) 계몽주의와 신학
3. 영국의 계몽주의
1) 체베리의 허버트
2) 존 로크
3) 존 톨란드
4) 사무엘 클라크
5) 매튜 틴달
6) 요셉 버틀러
4. 프랑스의 계몽주의
1) 피에르 베일